서울시는 올해 전기차 총 10만대 인도를 목표로 27일(월)부터 상반기 전기차 1만2053대 구매보조금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보조금을 받는 차량은 승용차, 트럭, 어린이 통학차량, 공공버스로 상반기 인도된 차량 1만2053대 중 민간이 1만1856대, 공공이 197대다.
차종별로 승용차 6,300대, 화물차 2,500대, 이륜차 1,500대, 택시 1,500대, 시내버스 40대, 어린이 통학차량 10대, 왕복버스 6대가 제공된다.
총 | 사적인부문 | 공공의부문 | |||||||||
타다 | 화물 | 두 바퀴 | 택시 | 도심· 마을버스 |
학교에 가다 | 갈다 | 타다 | 화물 | 버스 | 두 바퀴 | |
12,053 | 6,300 | 2,500 | 1,500 | 1,500 | 40 | 10 | 6 | 116 | 71 | 5 | 5 |
○ 전기이륜차, 전기택시, 전기버스(시·마을)는 서울시 별도계획에 따라 추진한다.
□ 서울시는 ‘2023년 전기차 민간보급사업’을 발표하고 차종별, 부문별 보급대수, 보조금 지원내역 등을 안내했다.
2월 27일(월)부터 환경부 무공해자동차 홈페이지(www.ev.or.kr)에서 신청을 받습니다.
▼
전기차 적용대상
신청 당시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 또는 거주하고 있는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은 자동차 제조·수입업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보조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수입사. 2개월 이내 인도 가능한 차량만 신청 가능합니다.
○ 현재 전기차 61종, 트럭 42종, 밴(중형) 8종을 신청할 수 있다.
지원대상, 자격, 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홈페이지(https://www.seoul.go.kr)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 동지애와 매력 특별한 도시 서울
주요소식, 시민참여, 주요서비스, 자주찾는서비스, 시장실, 분야별정보, 유쾌함과 매력이 있는 특별한 도시 서울소식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www.seoul.go.kr
전기차 보조금 차량
우선 전기차 홍보는 차량 가격과 성능에 따라 차별화된다.
5700만원 미만 차량은 최대 860만원(국비 680, 시비 180), 5700만원 이상 8500만원 미만 차량은 50% 지원된다.
8,500만원 이상 차량은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전기 트럭
□ 전기트럭 지원은 차종에 따라 825만 원(초소형) ~ 1,600만 원(소형) 특장차인 냉동트럭은 현재 최대 1946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 소상공인과 저소득층은 전기트럭 구매 시 국고보조금의 30%를 추가로 지원받는다.
추가 지원 금액은 전년도의 10%에서 30%로 증가했습니다. - 사람과 가까운 노후 경유 배송차량을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하기 위해 총 배송대수(2,500대)의 30%(750대)를 별도 배송 물량으로 배정했다.
아이들을 위한 학교 차량
어린이통학차량인증서를 발급받은 사람(예비학생 포함)은 최대 7,500만원까지 신청 및 지원받을 수 있다.
사회·의료기관용 노선버스 및 통근버스(중형 승합차)는 업무용 차량만 신청 가능하며 차량 1대당 7000만원, 최대 2대까지 지원된다.
시는 상반기 신청 수요에 맞춰 하반기에도 추가 분양을 지속할 계획이다.
□ 올해부터 개인사업자가 전기차를 구매하는 경우 개인과 마찬가지로 재신청 기간 내에 1대만 신청할 수 있다.
기업이 재보조 기간 내에 전기차(승용차, 화물차) 2대 이상을 구매하면 정부 보조금은 한국환경공단을 통해서만 받을 수 있다.
- 포스트 펀딩 락업 기간은 펀딩을 받은 후 동일 차종이 일정 기간 추가 펀딩을 신청할 수 없는 기간으로 승용차·밴은 2년에서 트럭은 5년으로 연장됐다.
기존 구매자에게도 소급 적용됩니다. - 단, 초소형 차량 또는 경/초소형 화물을 구매한 경우에는 재신청 제한기간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공동 명의로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 다시 적용되는 제한 기간은 대표자 1인에게만 적용됩니다.
□ 작년과 마찬가지로 보조금 지급 선택 방식은 차량 출고 및 등록 순이며, 보조금은 서울시가 제조·수입사에 직접 지급하므로 구매자는 차량 구매 잔금만 내면 됨 제조업체/수입업체에 대한 보조금을 제외한 가격입니다.
메모
□자세한 사항은 서울시 친환경자동차과(02-2133-3642, 3579, 9776), 다산 120콜(02-120), 전기차통합콜센터(1661-0970), 서울시 홈페이지(www.seoul.go.kr) 및 환경부 무공해자동차 홈페이지(www.ev.or.kr) 서울시를 비롯한 전국 공공 전기차 충전소, 현재 운영 상태는 Zero Emission Vehicles 웹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 이인근 기후환경센터장은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전기차 보급을 적극 추진해 왔으며, 연내 누적 보급 10만대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거지역에 충전망을 구축하는 등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겠다.
”
비즈니스 뉴스, 팁 및 수익 창출 정보 네이버에서 ‘메세지’검색해주세요 |
신고 및 문의는 [email protected]으로 해주세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정직한 뉴스
https://onews.kr